음악

화성학에서의 "음계" 기본 용어 완벽 정리

itwillbedone 2025. 11. 10. 00:54

음계(Scale)란 무엇인가요?

음계는 음악에서 높낮이가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된 음의 집합을 말합니다.

, 노래나 연주를 만들 때 사용하는 음의 재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성학에서는 이 음계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화음(Chord)**을 배우는 첫걸음입니다.

 

음계의 기본 구분

1. 장음계(Major Scale)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음계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도레미파솔라시도(C Major)**가 있습니다.

구성은 온온반온온온반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 예시: C-D-E-F-G-A-B-C

 

2. 단음계(Minor Scale)

슬프거나 어두운 느낌을 주는 음계입니다.

기본 형태는 **자연단음계(Natural Minor)**, “온반온온반온온의 구조를 가집니다.

🎧 예시: A-B-C-D-E-F-G-A

단음계는 세 가지 변형 형태가 있습니다.

자연단음계 (Natural Minor) 가장 기본형

화성단음계 (Harmonic Minor) 7번째 음을 반음 올려 화성을 풍부하게 함

가락단음계 (Melodic Minor) 오름차와 내림차의 음이 달라 멜로디 표현이 자연스러움

 

3. 교회선법(Mode)

고대 그리스 음악에서 유래한 음계 체계로,

현대 음악에서도 재즈나 모던 팝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선법 이름 중심음 예시 느낌

아이오니안 (Ionian) C 밝고 안정적 (장음계와 동일)

도리안 (Dorian) D 약간 블루지하고 따뜻한 느낌

프리지안 (Phrygian) E 이국적이고 어두움

리디안 (Lydian) F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

믹솔리디안 (Mixolydian) G ·록에서 자주 사용, 자유로운 느낌

에올리안 (Aeolian) A 단조롭고 감성적인 느낌 (단음계와 동일)

로크리안 (Locrian) B 불안정하고 실험적인 느낌

 

음계와 화성의 관계

화성학에서는 음계 내의 음들을 조합해 **화음(Chord)**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C장조 음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 코드가 만들어집니다.

음계 단계 코드 성격

C 장조 (밝음)

Dm 단조 (부드러움)

Em 단조

F 장조

G 장조 (긴장감)

Am 단조 (감성적)

° Bdim 7(불안정함)

이 관계를 이해하면 작곡, 편곡, 즉흥연주(Improvisation) 등에서

음의 흐름을 논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음악의 언어를 이해하는 첫걸음

음계는 단순한 음의 나열이 아니라,

음악의 정서·색채·감정을 결정짓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입니다.

화성학의 기초인 음계를 이해하면,

작곡·편곡뿐 아니라 연주 표현력까지 한층 깊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