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건바너들은 어릴적 클래식 피아노를 배운사람들이 대부분일것입니다.
클래식 피아노를 배운 사람들은 기계에 매우 약하고. 제가 그러했습니다.
합주실에서 야마하,커즈와일, 롤랜드, 코르그등...을 사용을 해봤지만, 기능들에 대해서 너무 모르니 원하는 감성의 소리를 내기가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나마 노드가 직관적이라 노드 일렉트로6를 구매했는데, 정보를 찾기도 힘들고 막막했기에 그런 분들을 위해 도움이 되고자 정보를 드립니다.

이퀄라이저란? 전체 사운드의 저음·중음·고음 대역을 조절해 사운드를 다듬거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EQ 노브 및 그 의미
Bass (저음) 노브 저음역대(예: 베이스, 킥 느낌, 저울림) 사운드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노브예요. 저음이 너무 무겁거나 뭉쳐 보일 때 줄이면 더 깔끔해질 수 있어요.
Treble (고음) 노브 고음역대(예: 섬세한 하이해트, 상단 공간감, 반짝임)를 조절하는 노브예요. 너무 밝거나 찌르는 느낌이 나면 줄이고, 좀 더 반짝이고 싶으면 올려요.
Mid Gain (중음 게인) 노브 중음역대(보컬이나 주요 멜로디가 자리잡는 영역)를 강화하거나 줄이는 기능이에요. 중음이 약하면 너무 흐리게 들리고, 너무 많으면 답답하게 들릴 수 있어요. 사용자 포럼에서도 “Gain은 트레블이나 베이스처럼 중음량을 조절하는 기능”이라 언급돼요.
Mid Freq (중음 주파수) 노브 위의 Mid Gain처럼 중음을 조절하지만, 이 노브는 **어떤 중음 대역(예: 낮은 중음 vs 높은 중음)**을 조절할지 선택하는 기능이에요. 즉 “어느 중음 부분을 강조할 것인가”를 결정해요.
활용 방법
저음이 너무 과하면 키보드 전체 소리가 묻히거나 무겁게 들릴 수 있어요. 이럴 땐 Bass 노브를 약간 낮춰 보세요.
고음이 너무 날카롭거나 귀에 거슬린다면 Treble 노브를 줄이면 더 부드럽게 들려요.
중음 부분이 부족하면 Mid Gain을 살짝 올려서 멜로디나 보컬이 잘 들리게 만들 수 있어요. 마찬가지로 중음 특정 대역이 흐리면 Mid Freq를 돌려서 원하는 중음 영역을 찾아보세요.
라이브 공연이나 녹음 환경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은 미세 조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주 과하게 조절하면 전체 밸런스가 깨질 수 있다는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프로그램을 바꾼 후에는 EQ 설정이 저장돼 있는지 확인하고, 각 프로그램마다 EQ 노브가 다르게 세팅돼 있을 수 있어요.
노브가 수동인데 프로그램을 바꾼다고 노브의 설정값이 달라질수 있을까???
정답은 네~ 있습니다.
EQ 노브가 물리적으로 수동(아날로그 방식)으로 되어 있어도, 프로그램을 바꿀 때 노브의 설정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Nord 키보드의 다이얼/노브들은 물리적 위치가 현재 저장된 설정값과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요. 예컨대 이전 프로그램에서 노브를 변경하지 않고 다음 프로그램으로 바꾸면, 노브가 그 다음 프로그램의 값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를 가리킬 수있습니다.
어떤 문제가 생기나?
프로그램을 바꾼 후 노브 위치가 이전에 사용하던 값으로 되어 있다면, 새로운 프로그램의 실제 EQ 세팅값과 노브 위치가 다르게 보일 수 있어요.
이때 노브를 돌리지 않으면 설정값이 변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돌리는 순간 갑자기 사운드가 크게 바뀔 수 있어요.
특히 라이브 상황에서는 이로 인해 예기치 않은 사운드 변화가 생길 수 있어요.
해결방법은?
프로그램을 변경한 직후 노브들이 어느 위치로 되어 있는지 빠르게 확인해 보세요.
노브 위치와 사운드가 맞지 않아 보인다면, 노브 하나를 아주 조금 돌려서 노브 위치와 설정값을 동기화(sync) 시켜 주세요.
자주 쓰는 프로그램에는 EQ 설정값을 저장해두는 습관이 좋습니다 . 그래야 바뀐 프로그램에서도 EQ 느낌이 일정하게 유지돼요.
라이브 모드 또는 공연 전에는 프로그램 + 노브 위치 + EQ 사운드 체크를 미리 해두는 게 안정적이에요.
만약 “노브를 돌렸더니 사운드가 크게 바뀌었다”면, 노브 위치가 설정값과 동기화되지 않아서 발생한 경우가 많아요.
이럴 땐 프로그램 저장 (Store) → 리콜(불러오기) 흐름으로 다시 세팅하는 것이 좋아요.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음악 기호 완벽 정리 (악상기호·셈여림·빠르기표 모음) (0) | 2025.11.03 | 
|---|